웹/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 스터디 1장 - 프로그래밍

공대생철이 2023. 6. 22. 16:33
728x90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할 때 그 기저에는 반드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의 이해가 있어야 한다.

 

시행착오를 많이 겪어봐야 한다.

 

동작원리 -> 코딩 스킬 -> 프로젝트 -> 동작원리 .... 

동작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코딩 스킬과도 연결 되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동작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세 개가 삼박자로 계속해서 잘 맞아떨어져야 한다.

 

"빨리 가는 유일한 방법은 제대로 가는 것이다"

 

프로그래밍을 왜 필요한가?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건데? 

-> 복잡한 문제는 단순하게 분해하고 사용하는 자료구조들을 정리 및 구분을 하면 된다.

 

언어의 종류 - 컴파일러 언어, 인터프리터 언어

 

사람 -------------  컴파일러 or 인터프리터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기계어)

 

컴파일러 언어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뒤 컴파일러를 통해 전체 파일을 컴파일이라는 과정을 거쳐 실행 파일을 만든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는 실행만 하면 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 

 

인터프리터 언어는 전체를 한꺼번에 컴파일하지 않고 한줄한줄 읽어가면서 순차적으로 바이트코드로 변환되면서 실행된다. 반복수행하면서 서 프로그램이 작동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느리다.

 

 

문제 -> 해결 방안 -> 코드

 

결국 프로그래밍은 요구사항의 집합을 분석해서 적절한 자료구조와 함수의 집합으로 변환한후,

그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728x90